-
728x90반응형
단세포생물로부터 인간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물은 자기의 보존, 먹 이 및 종족 유지를 위하여 어떤 형식으로든지 다른 생물과 관계를 맺고 삶을 영위하고 있다. 다른 두 종류의 생물체가 생존을 위해 서 로 불가분의 관계일 때 이러한 관계를 공생(Symbiosis)이라 하고, 한 종류는 다른 생물체에게 이득을 취하지만 다른 한 종류는 아무런 손 익도 받지 않으면 이를 기거생활(Commensalism)이라고 한다. 여기 에서 한 생물이 다른 생물에게 의존적인 위치에 있을 때 이를 넓은 의미의 기생물(寄生物, Parasite)이라 한다. 처음에는 모든 생물이 다 자유생활을 하였지만, 그중 일부는 오랜 기간 동안의 적응을 거쳐 이렇듯 다른 생물에게 의지하는 생활양식 을 가지게 되었다. 기생충은 다른 생물체의 체표 또는 체내에 영구 적 또는 일시적으로 서식하면서 영양분과 피신처를 제공받는 생물체 이다. 또한 기생충에게 영양분과 피신처를 제공하는 생물체를 숙주 라고 한다. 기생생활로의 적응정도에 따라 자유생활과 기생생활을 모두 영위할 수 있는 생물이 있는데, 이를 통성기생충(Facultative parasite)이라고 부르며, 반드시 숙주에 의존하는 기생생활만 할 수 있으면 이를 편 성기생충(Obligatory parasite)이라 한다. 숙주에 대한 병원성 여부에 따라 기생충은 병원성 기생충과 비병원성 기생충으로 나눠진다. 통 상적으로는 기생하지 않는 숙주에 기생할 때 이는 우연기생충 (Incidental parasite)이라고 하며, 기생충으로 오인되는 가공물을 기 4 생충 유사체(Pseudo parasite)라고 하며, 숙주에는 감염되지 않고 단 순히 장관을 통과하기만 하는 생물체를 대변기생충(coprozoic parasite) 또는 거짓감염기생충(spurious parasite)라고 한다. 기생충의 생활사가 완전히 성립되기 위해서 두 종류 이상의 숙주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때 성충이나 유성생식기(Sexual stage)의 기 생충이 기생하는 숙주를 종숙주(Final host or definitive host)라고 하며, 유충이나 무성생식기(Asexual stage)의 기생충이 기생하는 숙 주를 중간숙주라고 한다. 기생충 질환의 임상적 증후는 일반적으로 특징적이지 않아서 대부 분의 예에 있어서 증상만으로 진단하는 것은 부적합하다. 확진 및 적절한 치료법의 선택을 위해서는 검사실에서 충체 또는 충란을 확 인해야 한다. 기생충의 감염은 때로는 특별한 증상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만성적 경과를 밟는 수가 많은 데 이런 경우 감염자는 무증상의 기생충 보 유자로서 장기간 동안 다른 사람에게 기생충을 전파시키는 감염원이 되기도 한다. 감염으로 인해서 숙주에게 치명적이거나 심각한 영향 을 주지 않는 것이 기생충의 입장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기생충과 숙 주간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