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로컬 브랜드는 어떻게 글로벌 브랜드가 되나?
    카테고리 없음 2023. 4. 11. 15:56
    728x90
    반응형

    재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로컬 브랜드는 로컬 크리에이터 기업이다. 지역 자원을 연결한 비즈니스 모델로, 다른 지역의 기업에선 복제할 수 없는 경쟁력을 갖춘 로컬 크리에이터의 핵심 자산은 공간, 콘텐츠, 커뮤니티이다.

    로컬크리에이터는 개성 있는 공간, 콘텐츠와 더불어 동네에서 주민과 파트너가 참여하는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머물고 싶은 동네가 뜬다/모종린 저>에서는 로컬 비즈니스를 세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공간 기반의 앵커스토어, 공간을 운영하지 않는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 로컬 크리에이터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프라 비즈니스다.

     

    먼저 앵커스토어는 카페, 베이커리, 슈퍼마켓, 독립서점, 로컬 푸드 등의 업종이다.

    최근트렌드는 여러 업종을 연결한 복수업종 앵커스토어로 마이크로타운, 복합 문화 공간, 커뮤니티 호텔, 로컬 편집숍 등이다.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에는 아웃도어, 전통문화, 스트리트 컬처, 로컬 기술, 로컬 제조업 등 지역 문화와 자원을 활용해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고, 작업장이나 생산 시설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비공간 비즈니스 기업이 해당된다.

    앵커 스토어와 라이프스타일 비즈니스 모두 소비자에게 상품과 서비스를 파는 B2C(기업과 소비자 간 전자 상거래) 업종이다.

     

    대기업이 발굴하려는 소상공인 브랜드는 경쟁 기어보가 차별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영 기법, 즉 브랜딩을 통해 전국적으로 유명해진 작은 기업이다.

     

    1. 지역성과 창의성을 지닌 로컬 브랜드 기업을 차별화된 기업으로 정의한다면, 기업 스스로 로컬 브랜드 기업으로 인식할 수 있는가?

    2. 사업에 활용하는 지역 자원은 무엇인가?(자연환경, 특산물,유휴 공간,건물, 지역문화, 이야기 소재 등)

    3. 기업 경영의 어느 부분에 '지역성' 반영하는가?(브랜드,브랜드 스토리, 상품 개발, 마케팅, 건축/인테리어 )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